본문 바로가기

학자형 개발/KMOOC

네트워크 기초 - 1주차 과제

네트워크 기초
과제 1

성균관대학교 안성진 교수님

 

일반적으로 집이나 회사 등에서 IP공유기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유선뿐 아니라 무선 LAN을 지원하고 있으며, 주소 할당, 보안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IP공유기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나열하고 각각에 대해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설명하시오.

 

 1.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공유기에 연결된 각 장치들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공유기의 NAT라는 기술을 사용한다.

공유기는 자신을 포함하여 연결된 각 장치들에서 사설 IP 주소를 부여함으로써 사설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때 공유기 자체에 부여되는 사설 IP 주소를 특별히 게이트웨이 주소(Gateway Address)또는 라우터 주소(Router Address)라고 부르며, 이 주소에 접속하면 해당 공유기의 설정을 확인하거나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공유기에 연결된 장치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을 요청하면 공유 가기 NAT기술을 이용해, 사설 IP를 공인 IP로 바꿔서 페이스북에 접속을 시도한다.

2. 포트 포워딩 (Port Forwarding)

포트 포워딩은 외부 포트, 내부 IP, 내부 포트를 지정해줌으로써 설정이 가능하다. 즉 외부에서 어떤 포트로 접속했을 때 사설 네트워크 내 어떤 장치의 어떤 포트로 접속을 연결해줄지 설정해주면 되는 것이다.

3. 유동/고정 주소 (Dynamic/Static IP Address)

기본적인 IP공유기는 Dynamic IP Address를 갖는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IP 주소를 부여해주는 기관)에서 새로운 공인 IP를 제공해줘서, 공유기의 공인 IP를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인 요금을 지불하면 Static IP Address(고정 IP 주소)를 얻을 수 있다.

4.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공유기의 사설 IP 주소는 공유기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직접 설정하는 게 가능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사설 IP 사설 IP 주소의 중복을 막기 위해 연결된 다른 장치의 사설 IP 주소도 알아야 하고 서브넷 마스크, DNS 등 네트워크와 관련한 어려운 지식도 잘 알고 있어야 하므로, 직접 사설 IP 주소를 설정하는 건 십지 않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공유기가 DHCP라는 원리를 통해 각 장치에게 자동으로 사설 IP주소를 부여하게 된다.

1). 특정 장치가 공유기에 연결되는 순간 공유기의 DHCP 서버에 장치의 MAC 주소를 전달하며 사설 IP 할당을 요청한다.

2). 현재 연결된 다른 장치들의 사설 IP 주소와 겹치지 않게 사설 IP 주소를 장치 A에 일정 시간 부여한다.

3). 장치 A에 해당 사설 IP 주소를 일정 시간만큼 부여했다는 정보를 내부에 기록한다.

 

참고자료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elvmffj17006&logNo=221121632008 

 

사설ip대역, 공인ip대역~ 알아보자!

사설ip대역,공인ip대역 알아봐요 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ip라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IP란?Intern...

blog.naver.com

- https://it-eldorado.tistory.com/22

 

[Web] 공유기 - IP 주소, NAT, 포트 포워딩, DHCP 등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들은 통신을 위해 자신만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IPv4 체계에 따르면 IP 주소는 0.0.0.0 ~ 255.255.255.255의 범위로 표현되므로 대략 40억 개 정도의

it-eldorado.tistory.com